트리비아

보퍼트 풍력 등급표(Beaufort wind scale)

Chav 2023. 6. 13. 08:10
반응형

보퍼트 풍력 계급은 바람의 세기를 12개의 등급으로 나눈다.

 

1805년 아일랜드의 해군 장교인 프란시스 보퍼트가 고안한것으로,

 

현재에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보퍼트 풍력 등급은 지상에서 측정하기도 하지만,

 

지상에서 10m 높이 에서 측정하는것이 일반적인 측정 방법이다.

 

한 때 12계급을 17계급으로 늘려서 사용하기도 했으나,

 

그것은 열대 저기압과 같은 특별한 상황에서만 사용한다.

 

오늘날 17계급을 사용하는 국가는 중화민국(대만), 중화인민공화국(중국)으로 알려져 있다.

 

 

 

<Beaufort scale>

계급
풍속 명칭 파고
육상 상태
해상 상태
m/s km/h knot mph 한글 영어 m ft
0 <0.3 <1 <1 <1 고요 Calm 0 0 연기가 수직으로 올라간다.
해면이 거울 같이 반사될 정도로 고요하다.
1 0.3~1.5 1~5 1~2 1~3 실바람 Light Air 0.1 0.33 풍향은 연기가 날아가는 것으로 알 수 있으나, 풍향계는 잘 움직이지 않는다.
물결이 생선 비늘 같이 작고, 물거품이 없다.
2 1.5~3.3 6~11 4 ~6 3~7 남실바람 Light Breeze 0.2 0.66 바람이 피부에 느껴진다. 나뭇잎이 흔들리며, 풍향계가 움직이기 시작한다.
물결이 작고, 파도의 마루 부분이 부서지지 않고 모양이 뚜렷하다.
3 3.3~5.5 12~19 7~10 8~12 산들바람 Gentle Breeze 0.6 2 나뭇잎과 작은 가지가 끊임없이 흔들리고, 깃발이 가볍게 날린다.
물결이 커지고, 파도의 마루가 부서져서 물거품이 생겨 흰 파도가 간간이 보인다.
4 5.5~8.0 20~28 11~15 13~17 건들바람 Moderate Breeze 1 3.3 먼지가 일고 종이조각이 날리며, 작은 가지가 흔들린다.
파도가 일고, 파장이 길어지며 흰 파도가 많이 보이기 시작한다.
5 8.0~10.8 29~38 16~20 18~24 흔들바람 Fresh Breeze 2 6.6 잎이 무성한 작은 나무 전체가 흔들리고, 호수에 물결이 일어난다.
파도가 조금 높아지고, 물거품이 생기기 시작한다.
6 10.8~13.9 39~49 21~26 25~30 된바람 Strong Breeze 3 9.9 큰 나뭇가지가 흔들리고, 전선이 울리며 우산을 사용하기 어렵다.
파도가 높아지기 시작하고, 물거품이 광범위해지며 물보라가 생긴다.
7 13.9~17.2 50~61 27~33 31~38 센바람 Near Gale 4 13.1 나무 전체가 흔들리며, 바람을 안고서 걷기 곤란하다.
파도가 높아지고, 파도가 서로 부서져서 물거품이 생겨 줄을 이루며 바람에 의해 날린다.
8 17.2~20.7 62~74 34~40 39~46 큰바람 Gale 5.5 18 작은 나뭇가지가 꺾이며, 바람을 안고서 걸을 수 없다.
파도가 제법 높고, 파장이 더 길고 마루의 끝이 거꾸로 된다. 물거품이 강풍에 날린다.
9 20.7~24.5 75~88 41~47 47~54 큰센바람 Severe Gale 7 23 큰 나뭇가지가 꺾이고, 가옥에 다소 피해가 생긴다. 굴뚝이 넘어지고 기와가 벗겨진다.
파도가 높고, 물거품이 바람에 따라 짙은 줄무늬를 띤다. 마루가 흩어져 말리고 물보라 때문에 시정이 나빠진다.
10 24.5~28.4 89~102 48~55 55~63 노대바람 Storm 9 29.5 나무가 뿌리째 뽑히고, 가옥에 큰 피해가 일어난다. 내륙 지방에서는 보기 드문 현상이다.
파도가 옆으로 긴 마루로 되어 몹시 높고, 물거품이 큰 덩어리가 되어 강풍에 날린다. 파도가 심하게 부서지고 시정이 나쁘다.
11 28.4~32.6 103~117 56~63 64~72 왕바람 Violent Storm 11.5 37.7 광범위한 피해가 생긴다.
파도가 대단히 높고, 주위의 배는 파도에 가려 볼 수 없다. 길게 줄지은 물거품들이 바다를 덮는다. 시정이 극히 나쁘다.
12 ≥32.6 ≥118 ≥64 ≥73 싹쓸바람 Hurricane ≥14 ≥46 매우 광범위한 피해가 생긴다.
파도가 매우 높고, 바다는 물거품과 물보라로 가득 차 바로 한치 앞도 분간하기 어려울 정도다.

 

 

표에 들어갈 내용이 많아, 화면에 최적화 시킬수가 없어서 첨부 파일을 준비 했다.

 

조금 더 보기 편하다.

 

보퍼트 풍력 등급.pdf
0.06MB

 

 

여담이지만

 

파랑주의보는 풍속이 14m/s이상 혹은 순간 풍속이 20m/s 일때 발표 된다.

 

파랑 주의보가 발효되면, 1해리(1.8km) 이내에서만 운항 할 수 있다.

 

운송사들은 몇일치 예보를 보고, 운송같은건 아예 안한다.

 

아니면 오기전에 미리 도망간다던지 한다.

 

날씨 예측을 미리 하겠지만

 

어쩔수 없을땐 선박들은 항로를 변경해서 피항한다거나,

 

안전 점검을 하고, 선박이나 물품들을 고박 하기도 한다.

 

그래서 특히 바닷가는 날씨 예보를 미리미리 알고 대비해야 한다.

 

부두 작업시 바람 많이 부는날은 풍속 10m/s 는 일반적이고,

 

돌풍 불고 하면 12m/s 정도는 우습다 할 수 있겠다.

 

그리고 바람은 아랫쪽보다 윗쪽으로 갈수록 더 세진다.

 

 

역대 한국 태풍 순위

 

순위 태풍 이름 발생일 최대 풍속
1 루사 2002년 9월 12일 50m/s
2 에위니 2005년 9월 12일 45m/s
3 덴빈 2001년 9월 2일 45m/s
4 솔리드 1998년 9월 20일 45m/s
5 앤디 1997년 8월 20일 45m/s
6 제비 1996년 9월 14일 45m/s
7 루빈 1993년 9월 28일 45m/s
8 셀마 1992년 9월 11일 45m/s
9 매미 2003년 8월 26일 40m/s
10 옥란 1995년 9월 19일 40m/s

 

2023-06-12일 기준으로

 

역대 한국 태풍을 풍속 기준 정렬해보았다.

 

신기하게도 꼭 추석 즈음에 태풍이 하나씩 온다.

 

매 해마다 찾아오는 태풍은 수많은 사망자와 재산 피해를 입힌다.

 

역대 태풍의 최대 풍속을 보면,

 

50m/s 로 그 풍속이 어마 어마 하다.

 

보퍼트 등급으로 따지면 스케일 12 이상이다.

 

많은 비와 바람을 동반 하기 때문에

 

부두의  크레인들도 다 넘어지고, 집도 다 잠기고 하지만

 

최소한의 대비는 해야한다.

 

 

 

태풍의 대비

 

대략 몇가지 적어보자면

 

1. 태풍경보를 주의 깊게 듣고, 태풍의 경로와 예상 강도를 파악한다.

 

2. 태풍이 다가오는 지역에서는 외출을 자제하고, 집에 머무른다.

 

간판 이나 하수도 멘홀, 지하실 쪽은 위험하므로 피한다.

 

3. 창문을 고정하여 파손에 대비하고, 문을 단단히 닫습니다.

 

4. 가스와 전기 공급을 차단하고, 손전등, 응급 약품, 비상용품을 미리 준비 한다.

 

5. 라디오를 켜서 태풍의 상황을 파악하고, 지시에 따라 행동합니다.

 

6. 대피 장소와 비상 연락 방법을 숙지 한다.

반응형

'트리비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유비 계산 하는법  (0) 2023.06.23
축구장 크기  (0) 2023.06.14
야구 포지션 약어 설명회-1  (0) 2023.05.17
큐브 맞추는 법 (초급 공식)  (2) 2023.05.17
멀티탭 고르는 법  (0) 2023.05.15